티스토리 뷰
버스나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시나요? 부산 시민이라면 꼭 챙겨야 할 교통비 절감 정책이 있습니다. 바로 동백패스입니다. 2023년부터 시작된 이 제도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정책지원금으로 환급해주는 특별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5년 7월부터 모바일(삼성월렛)로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바일 동백패스의 혜택, 등록방법등에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바일 동백패스란 무엇인가요?
부산시에서 운영 중인 교통비 환급제도인 동백패스를 모바일(삼성월렛)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입니다. 모바일의 장점으로 실물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 시행 시기: 2025년 7월 1일부터
- 대상: 만 19세 이상 부산 대중교통 이용자
- 카드 종류: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바일 동백카드
어떤 혜택이 있나요?
성인 기준: 한 달에 45,000원 넘게 사용 시 → 최대 45,000원 환급
청소년(13~18세): 월 25,000원 초과 시 → 최대 25,000원 환급
환급액은 다음달에 자동으로 동백전으로 환급되는데 실물카드와 모바일카드 중 더 많이 사용한 쪽을 기준으로 혜택을 적용합니다.
사용 가능한 교통수단
부산시가 지정한 교통수단에만 적용됩니다.
-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단, 2000번 버스 제외)
- 도시철도 1~4호선
- 부산김해경전철
- 동해선 (양산·김해·울산 구간 포함)
모바일 카드 등록방법
✅ 동백패스 소지자 : 삼성월렛에 기존 카드만 등록
1. 삼성 월렛 앱 실행
2. 하단 카드 추가 또는 + 버튼 클릭하기
교통카드 추가로 이동
3. 카드사 선택
부산은행 BC카드 또는 하나카드 선택
4. 후불교통 포함된 동배전 카드 등록
카드 번호 입력 또는 NFC방식으로 등록
5. 등록 완료 후,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설정
등록한 카드를 기본 교통카드로 설정, 버스지하철 태그 시 자동 인식 결제
✅신규가입자
1. 동백전 앱이나 은행에서 교통카드를 신청
2. 삼성월렛 앱-> 교통 카드 추가 -> 등록 후 모바일로 사용가능하다
주의 : 처음 시행시 부산은행 BC카드, 하나카드만 가능 2025년 10월 부터 농협BC카드 사용 가능
마무리
동백패스 실물 카드도 5월 기준으로 약 70만명이 이용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또한 2024년 한해 전체 환급액은 약 775억원이라고 하니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했습니다. 모바일 동백패스의 출현은 부산 전체의 대중교통 활성화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요? 쓸때마다 쌓이는 환급금을 돌려받는 재미도 쏠쏠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