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출모드는 난방비 절약이 아닌 ‘동파 방지용’
보통 집을 비울 때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외출모드를 설정하지만, 전문가들은 “외출모드는 절약 기능이 아니라 동파 방지 기능”이라고 말합니다. 보일러가 얼지 않도록 최소한의 열만 유지하기 때문에, 실내 온도는 빠르게 떨어지게 되죠.
문제는 귀가 후 낮아진 실내 온도를 다시 데우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실내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가스 사용량이 약 7%씩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가 10도 떨어졌다면 70% 이상의 추가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외출모드는 난방비를 더 많이 소비하게 만드는 역효과를 일으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출모드 설정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오해가 여기에 있습니다.


효율적으로 난방비 절약하는 보일러 온도 조절법
난방비를 절약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외출모드를 끄고 평소 온도보다 3~5도 낮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평소 실내 온도를 21도로 유지한다면 외출 시 16~17도로 맞춰두면 충분합니다. 이렇게 하면 실내 온도가 급격히 식지 않아, 귀가 후 온도를 올릴 때 에너지 소비가 훨씬 적습니다. 당연히 난방비는 절약되겠죠
어는 한 가정에서는 외출모드를 끄고 온도만 조정하는 방식으로 바꾼 뒤, 월 난방비가 15만 원에서 9만 원으로 줄었다고 합니다. 단순한 습관 하나로도 월 3만~6만 원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입니다.
외출모드는 언제 사용하는 게 맞을까?
외출모드는 단기 외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신 2~3일 이상 장기간 집을 비울 때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절이나 여행처럼 며칠간 집을 비울 때, 배관이 얼지 않도록 최소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영하 12도 이하의 강추위가 예보된 경우에는 외출모드 설정 시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너무 낮은 온도로 설정하면 배관이 얼 수 있으므로, ‘동파 방지용’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보일러 관리로 난방비 절약 효과 2배 높이기
외출모드 외에도 보일러 관리 습관을 바꾸면 큰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보일러 모드 선택: 단열이 잘된 집은 ‘실내모드’, 외풍이 심한 집은 ‘온돌’ 또는 ‘예약 모드’ 사용.
- 온수 온도 설정: 여름엔 40도, 겨울엔 50도로 맞춰 찬물 혼합 없이 효율적 사용.
- 냉수 사용 습관: 양치질·손 씻기 등은 냉수로 대체해 가스 절약.
- 보일러 청소: 1년에 1회 점검 시 효율이 10~20% 향상.
- 콘덴싱 보일러 교체: 10년 이상 사용한 보일러는 정부 지원금으로 교체 가능.
실내 온도 유지가 난방비 절약의 핵심
난방비 절약의 핵심은 한 번 데운 온도를 유지하는 데 있습니다. 실내 열기를 오래 보존할수록 추가 난방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습도 유지: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하면 체감 온도가 2~3도 상승.
- 창문 단열: 뽁뽁이 필름을 붙이면 난방비 약 10% 절감.
- 바닥 단열: 러그나 카펫을 깔면 열 손실 방지 효과.
마무리 - 생활 속 작은 변화로 따뜻하고 알뜰한 겨울 보내기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습니다. 외출모드 대신 평소 온도보다 낮게 조절, 뽁뽁이 등으로 단열 보강, 습도 관리 같은 생활 속 작은 실천이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따뜻함은 유지하면서도 난방비를 절약하는 겨울, 든든하게 맞이하세요.









